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미움받을 용기 2 (기시미 이치로, 고가 후미타케)

Hobby/Book

by Aronia0199 2020. 7. 6. 18:13

본문

728x90
반응형

2020. 07. 06

 

 미움받을 용기 1탄을 읽고 몇달만에 2탄을 손에 들게 됐다.

 먼저 차례를 보자면

1. '나쁜 그 사람, 불쌍한 나' 라는 핑계

2. 왜 '상과 벌'을 부정하는가

3. 경쟁원리가 아닌 협력원리에 기초하라

4. 주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

5.사랑하는 인생을 선택하라

순으로 다섯가지 이야기가 오고 간다.

 

 구성은 1탄과 동일하다. 한 청년이 철학자에게 찾아와 대화를 나누는 형식이다. 단지 달라진 점이 있다면, 1탄에서는 청년이 아들러의 철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우고 갔다면, 2탄에서는 그것을 어떻게 실생활에 적용시키는지,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나와있다. 1탄에 나온 그 청년이 교사로 이직하여 3년동안 교육자로서 아들러의 철학을 아이들에게 적용시키려고 했지만 그것에 실패하고 많은것을 깨달은 후에 철학자를 찾아오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첫번째 이야기에서는 존경, 공감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청년은 '너와 나의 문제를 분리시킨다는 것'에 대한 모순을 이야기 한다. 결국 공부라는 행위는 아이의 문제일 뿐이고, 교육자의 문제일수는 없다. 하지만 그 교육이라는것 자체는 아이를 공부하게 만드는, '강요'하는 행위인것이 아닌가? 라는 질문을 하고 철학자는 그에 대한 대답을 한다. 교육은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공부를 '돕는' 행위라고 말이다. 아이를 물가에 데려갈수는 있지만 강제로 물을 마시게 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그리고 그것을 돕기 위해서는 아이에 대한 '존경'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관심' 이 있어야 하고, 관심을 가지기 위해서는 타인의 눈과 귀로 보고 듣고, 타인의 마음으로 느껴야 하는, '공감'이 필요하다고 말을 한다. 그 '공감'을 먼저 실천함으로써 학생들에게도 전파하라는것이다.

 그러자 청년은 또 반박한다. 학교는 점수를 높이기 위한곳이 아닌가? 아무리 엄하게 가르쳤어도 나중에 감사하다고 찾아오는 학생들은 무엇인가? 이 이야기는 또한 1탄에서의 '트라우마' 이야기와 직결된다. 다른 말로 하자면 '현재 목적에 의한 과거 조작'이라고도 할 수 있을것 같다. 현재 자신이 살고 있는 인생의 목적에 따라 자신이 살아왔던 과거를 부정하거나 미화시킨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철학자가 말하는 것을 보고 있자면 뭔가 너무 이성적인 척을 하는것 같기도 하지만 사실 생각해보면 인생에 도움되는것은 책에서 말하는 것이 맞기도 하다. 첫번째 이야기의 제목처럼 사람들은 상담을 할때 '나쁜 그 사람' 또는 '불쌍한 나'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푸념을 가득 한 다음에 다른 사람들이 공감해주면 잠깐 마음은 편안해지지만 결국 또 불안해지게 된다. 결국 상담의 목적은 그 두개가 아닌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것인가' 가 되어야 한다. 과거는 과거 일로 두고, 현재와 미래에 집중을 하자는 것이다.

 

 두번째 이야기는 왜 상과 벌을 부정하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 부분은 아이가 자립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교육자가 해야하는 행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먼저 아이가 무언가를 잘못했을때, 어른은 야단을 치게 된다. 하지만 만약 아이가 몰라서 그런일을 했다면? 그것을 야단치기보다는 올바르게 잡아주는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다 알면서도 잘못된 일을 저질렀다면 왜 그런지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아들러는 이것을 5가지 단계로 나누는데, 칭찬 요구, 주목 끌기, 권력투쟁, 복수, 무능의 증명 순으로 나뉘어진다.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이 5가지 단계의 궁극적인 목표는 바로 '특별한 나'임을 인정 받는것, 유일무이한 존재로서 집단에서 자리를 잡는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말했던 '공감'과 '인정', 그리고 '존경'과 연결되게 된다. 이 5가지 단계에서 끝까지 가는 아이는 많이 없지만 보통 교육자의 목표는 아이가 3단계까지 가지 않게 돌보는 역할이라고 말한다.

  이어서 야단치는 것이 정말로 효과적인 방법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한다. 왜 야단치는 사람들은 '항상' 야단을 치는걸까? 만약 혼낸다는 행위가 효과가 있다면 한번만 혼내야 하는것이 아닐까? 항상 야단을 친다는것은 곧 야단이라는 행위가 효과가 없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칸트의 말을 인용한다. 칸트는 "인간이 미성년 상태에 있는 이유는 이성이 결여되어서가 아니다. 다른 사람의 지시 없이는 자신의 이성을 사용할 결단도 용기도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인간은 자기 책임하에 미성년 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라는 말을 했다. 마지막 문단에서 인간은 미성년 상태에 머물고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왜 그런걸까? 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선택하고, 그 선택에 책임을 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용기가 없는 사람이 미성년상태에 머물러 있는것이다. 실제로 자신이 직접 알아서 하는것 보다는 남이 시키는 것을 하는게 훨씬 쉽고 가뿐하다. 무언가를 잘못해도 탓할 사람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람이 성년이 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교육자의 역할이란, 미성년인 자들에게 자립할 '용기'를 불어 넣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을 하는 방법은 아이에게 무엇을 하라고 지시하기 보다는 아이의 선택을 존중하고,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아이가 나중에 성년이 된다면 그것에 기여했다는 공헌감에서 행복을 찾는것이 바로 교육자의 일인것이다.

 

====== 07.20 =====

 

 세번째 이야기는 칭찬을 하면 안되는 이유와 관련이 있다. 짧게 말해서 칭찬을 하게 되면 경쟁심이 생기고 그로 인해 열등감이 생기게 된다는 내용이다. 이 부분은 뭔가 1권과 관련이 있는 느낌이 들었다. 1권에서도 칭찬에 대해 이야기를 할때 '칭찬'이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하는것, 즉 수직적인 관계 안에서 이뤄지는 행동이라고 했다. 하지만 학교는 수직적인 관계가 아닌, 수평적인 관계로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칭찬을 하면 안된다고 한다...

 그럼 무엇을 해야 할까? 칭찬 대신 교육자에게 무엇을 하라는 이야기는 없지만 2번째 이야기에서도 말했듯이, 나 자신을 무언가 '특별한 나'가 아닌 '다른 사람들과 비슷한 나'로 받아들이기 위한 자립을 도울수도 있을것이다. 이런 자립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특별한 나'로 인정받고 싶은 사람들은 계속 관심을 끌거나 칭찬을 받기위한 문제 행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때 청년은 교육자가 할 수 있는것에는 한계가 있다, 결국 아이가 대부분 머무르는 곳은 가정이고 그곳에서 모든 생활양식을 배워오기 때문에 결국에는 의미가 없다. 라고 반박을 한다. 하지만 철학자는 아이가 학교와 집에서 항상 같은 태도를 유지하는가? 라는 질문을 던졌다. 결국 아이가 학교에서 보이는 문제 행동은 학교 내에서의 문제이지, 집에서의 문제가 아니기에 교육자를 통해 문제 행동을 고칠수 있다. 라며 청년의 의문에 대답을 한다... 여기서 정말 맞는 말이 나도 그랬지만 친구들도 학교와 집에서는 뭔가 행동이 다르다... 아무튼 교육자는 학교에서 '일'을 하는것이 아닌 '관계'를 맺어야 한다며 세번째 이야기를 끝낸다.

 

 네번째 이야기는 일과 교우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것은 신뢰와 신용의 차이와 비슷한데, 신뢰는 그 사람 자체를 믿는데에 반해 신용을 그 사람의 조건을 믿는 것이다. 일도 마찬가지로 그 사람을 엄청 좋아하지는 않지만 모두의 이익을 위해 동업을 하는것이고, 교우는 그저 그 사람 자체에게 호감을 갖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또 교육 이야기로 넘어가서, 왜 교육자는 학생들과 일의 관계가 아닌, 교우의 관계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결론만 말해보자면 소속감을 가지기 위해서는 교우의 관계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교우의 관계를 가지는 것은 신뢰한다는 것과 비슷한데, 대상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그저 그 사람을 믿는다는 뜻이다.

 

 다섯번째 이야기는 결국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부분은 많이 혼란스러웠다.... 일단 짧게 말해보자면, 사랑이란 이제까지 살아온 '나'를 버리고 '우리'의 행복을 추구하는 행위이다. 사랑이 일과 교우의 관계와 다른 점은 바로 여기있다. 오직 두 사람의 관계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사랑을 하고 '나'에서 탈피하는 것은 곧 '자기 중심적'인 사고를 버리는 것이고, 그것은 이제까지 계속 언급된 '자립'과 직결된다. 자기가 특별하다고 생각하고, 세상은 자기를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생각을 버리고 자립을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혼란스러웠던 부분은 바로 '사랑하는 대상'의 이야기였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용기가 없기에 괜히 자신이 원하는 이상형을 꿈꾸며 다른 사람이 먼저 다가오기만을 기다린다는 것이다..... 마음을 먹고 용기만 낸다면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이라도 바로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이 아들러의 이야기이다... 흠... 아무튼 사랑이란 '우리의 행복'을 위해 생기는 관계이고, 즉 이제부터 살아갈 방식에 대해 결정하는 것이라고 한다.

 

 뭔가 애매모호한 말이 많았고 다시 찾아온 청년이 교사가 되며 가진 의문점에 대해 질문을 하는 내용이라 교육에 관한 내용이 많았다. 책을 읽다보면 쉬우면서도 어려운 느낌이 든다. 뭔가 이해가 되는 듯하면서도 계속 생각해보면 이해가 안되는 느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